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296474914> ?p ?o ?g. }
Showing items 1 to 52 of
52
with 100 items per page.
- W4296474914 endingPage "416" @default.
- W4296474914 startingPage "393" @default.
- W4296474914 abstract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탐구한다. 성역할 태도 연구들은 평등한 성역할이 성평등 성취에 핵심적인 것으로 보고, 주로 어느 집단이 더 평등한 성역할을 지지하는지, 또는 반대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의 새로운 균열을 드러내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능력주의 태도는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동의 정도를 말하며, 성역할 태도는 공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남성주도성에 대한 태도와 사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여성 정체성에 대한 태도로 구분한다.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는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는 전통적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를 포함한다. 세계가치관조사 7차 조사(2017-2020)의 한국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면, 능력주의 태도는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능력주의 태도는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지지는 전통적인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지만,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찬반과는 관계가 없다. 능력주의 태도는 공적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사적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과는 무관하다. 능력주의 태도는 평등보다는 공정과 관련된 태도라고 할 때, 능력주의 태도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기회의 평등을 보편적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주의에 대한 강한 지지가 있는 사회에서는 공적영역의 성역할에서의 평등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보편적 기회의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default.
- W4296474914 created "2022-09-21" @default.
- W4296474914 creator A5012741672 @default.
- W4296474914 creator A5047330389 @default.
- W4296474914 date "2022-08-31" @default.
- W4296474914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296474914 title "Meritocracy and Social Cleavage of Gender Role Attitudes: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Meritocratic Attitudes and Gender Role Attitudes" @default.
- W4296474914 doi "https://doi.org/10.22418/jss.2022.8.61.2.393" @default.
- W4296474914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296474914 type Work @default.
- W4296474914 citedByCount "0" @default.
- W4296474914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296474914 hasAuthorship W4296474914A5012741672 @default.
- W4296474914 hasAuthorship W4296474914A5047330389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151730666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175156509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38377331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43369102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151730666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15744967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175156509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17744445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199539241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38377331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43369102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77805123 @default.
- W4296474914 hasConceptScore W4296474914C86803240 @default.
- W4296474914 hasIssue "2" @default.
- W4296474914 hasLocation W42964749141 @default.
- W4296474914 hasOpenAccess W4296474914 @default.
- W4296474914 hasPrimaryLocation W42964749141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1975430480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1981237115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1988185375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008138827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010073985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067443318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166481065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809777561 @default.
- W4296474914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296474914 hasVolume "61" @default.
- W4296474914 isParatext "false" @default.
- W4296474914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296474914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