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01370081> ?p ?o ?g. }
Showing items 1 to 58 of
58
with 100 items per page.
- W4301370081 endingPage "75" @default.
- W4301370081 startingPage "41" @default.
- W4301370081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 관련한 역량 진단의 대안적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었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토대를 둔 현 대학기본역량진단 방식을 비판하고 그 대안 을 제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훈련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 는바, 그것은 정치ㆍ경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대학교 육제도는 핵심역량과 같은 수단적 가치에 매몰될 수 없고 교육제도의 목적을 구현 해야 한다. 교양교육제도의 목적은 핵심역량 키우기가 아니라 교양능력 키우기이 다. 교양능력 키우기는 교육목적으로서 ‘책임감을 가진 자유시민’을 양성하는 것임 을 선언한다. 둘째, 대학은 핵심역량 키우기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력’ 키우기에 집중하는 정책적 지원을 기획해야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 라, 어떻게 교육력을 키워 그것이 학생의 능력을 키우는 토대가 될 수 있을까를 숙 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육력’ 개념을 굳건히 가져야 하고 그 ‘교육력 구조’를 학교내에 체제화해야 한다. 교육력의 구성요소는 교양교육 관련 교수의 코스웍 기 획, 코스웍 기획에 대한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평가ㆍ 피드백 기제의 작동에 대한 것이다. 이 교육력 구조가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교는 인적ㆍ물적ㆍ문화적 자원의 확보와 운영에 충실해야 한다. 셋째, 종래의 기본역량진단은 그 자체 평가주의의 오만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료 주의적 형식주의적 대응 등의 병리적 현상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진단 방향 의 대강으로서 진단 거버넌스의 교체, 교양능력 키우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육 력 구조의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고, 그 진단방식의 대안으로서 원리적 수준에서 진 단의 전체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default.
- W4301370081 created "2022-10-05" @default.
- W4301370081 creator A5018986583 @default.
- W4301370081 date "2022-09-30" @default.
- W4301370081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301370081 title "Alternatives of the Competency Assess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default.
- W4301370081 doi "https://doi.org/10.37998/le.2022.3.2.2" @default.
- W4301370081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301370081 type Work @default.
- W4301370081 citedByCount "0" @default.
- W430137008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01370081 hasAuthorship W4301370081A5018986583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2091236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4542091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9417346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37413474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509550671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5353838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55587333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2091236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27413603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44024400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4542091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5744967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7744445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9417346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199539241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37413474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509550671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53538382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55587333 @default.
- W4301370081 hasConceptScore W4301370081C71924100 @default.
- W4301370081 hasIssue "2" @default.
- W4301370081 hasLocation W43013700811 @default.
- W4301370081 hasOpenAccess W4301370081 @default.
- W4301370081 hasPrimaryLocation W43013700811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083622195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332893142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35340845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37729148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592792327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83674075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2991678290 @default.
- W4301370081 hasRelatedWork W47967624 @default.
- W4301370081 hasVolume "3" @default.
- W4301370081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0137008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0137008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