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06386239> ?p ?o ?g. }
Showing items 1 to 47 of
47
with 100 items per page.
- W4306386239 endingPage "191" @default.
- W4306386239 startingPage "151" @default.
- W4306386239 abstract "이 글은 550년대 중반 국제관계에서 보이는 가변성에 주목하여 주요 사건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554년 管山城 전투의 배경과 전개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동안 관산성 전투는 신라와 고구려의 통호와 신라의 한강유역 점유에 따라 백제가 신라를 침공하면서 발발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백제는 한강유역을 상실한 이후 553년 10월 신라와 혼인하였고, 같은 시기 고구려를 선제공격하여 百合野塞 전투를 벌였다. 이 시기 국가 간 관계는 각 국의 현실적 이해와 실리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관계를 맺고 파기하는 것이 반복되었다. 따라서 백제는 한강유역 상실 이후 고립에 처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553년 10월 신라와 맹약을 통해 관계를 재결성하고 혼인관계를 맺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백제는 548년 獨山城 전투에서 551년 한강유역 진출에 이르기까지 신라의 공조를 바탕으로 고구려와 대결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백합야새 전투는 백제와 신라의 관계 재결성을 바탕으로 추진되었다고 판단된다. 신라 역시 자국의 실리를 위해 백제의 고구려 공격을 틈타 함경도 일대 진출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을 것으로 보인다. 『舊唐書』 東夷列傳 新羅條에 나타난 신라의 백제 침공과 『三國遺事』 紀異 眞興王條의 珍城 전투 및 신라와 고구려의 통호를 검토하였다. 신라는 백합야새 전투 이후 고구려와 통호하고 백제의 진성 일대를 선제공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로 보아 554년 관산성 전투의 직접적인 발발 원인은 신라의 진성 공취와 이에 대한 백제의 대응이라고 생각된다. 백제는 수도인 사비로 향하는 요충지이자 가야와의 주요 교통로에 인접한 진성을 침공당한 상황에 대응하고자 신라를 공격한 것이다. 가야 역시 이와 같은 이유로 관산성 전투에 참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고구려는 신라와 통호에 따른 군사공조를 명목으로 백제 熊川城을 공격하였다. 이로부터 전투의 흐름이 변화하였으며 결국 전투는 聖王이 죽음을 맞이하면서 백제의 패전으로 끝났다. 결성과 파기를 반복하던 백제와 신라의 관계는 554년 관산성 전투로 완전히 파기되었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asonably understand major even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ility seen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mid-550s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Battle of Gwansanseong Fortress in 554.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Battle of Gwansanseong Fortress occurred when Baekje invaded Silla following the rule of Silla and Goguryeo and the occupation of the Han River basin of Silla. However, in October 553, Baekje unexpectedly attacked Baekhabya in Goguryeo, while forging a relationship with Silla through marriag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were entirely based on a realistic understanding and practical interest. The establishment and destruction of partnerships were frequent and secret collaboration between countries were common. Considering the Baekje-Silla cooperative relationship from 548 to 551 against Goguryeo, it is fair to guess Baekje and Silla allied again for their interests and fostered a marriage relationship to cement it, which enabled Baekje to attack Goguryeo, and Silla to advance into the Hamgyeong-do area. The Samguk Yusa records that Baekje invaded Silla’s Jinseong in September 554. However, the Jinseong area was originally Baekje’s territory. In addition, the Gudangseo notes a remark of Silla’s envoy mentioning that Silla made a preemptive attack on Baekje. So, the Gwansanseong battle was Baekje’s counterattack against Silla’s invasion of Jinseong Fortress. Gaya probably participated in this battle since Silla attacked Jinseong Fortress near Geumsan which was part of the inland traffic route between Baekje and Gaya. The battle saw a turning point when Goguryeo, under the pretext of partnership with Silla, launched an attack on Ungcheonseong Fortress of Baekje. With the death of King Seong, the battle ended with the defeat of Baekje. The volatile partnership of Baekje and Silla in the 550s finally reached a complete breakdown with the Gwansanseong battle." @default.
- W4306386239 created "2022-10-17" @default.
- W4306386239 creator A5035698953 @default.
- W4306386239 date "2022-09-30" @default.
- W4306386239 modified "2023-10-14" @default.
- W4306386239 title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Gwansanseong Battle in A.D. 554" @default.
- W4306386239 doi "https://doi.org/10.37331/jkah.2022.9.107.151" @default.
- W4306386239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306386239 type Work @default.
- W4306386239 citedByCount "0" @default.
- W430638623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06386239 hasAuthorship W4306386239A5035698953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2776617961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2778627824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38035415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17744445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195244886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199539241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205649164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2776617961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2778627824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38035415 @default.
- W4306386239 hasConceptScore W4306386239C95457728 @default.
- W4306386239 hasLocation W43063862391 @default.
- W4306386239 hasOpenAccess W4306386239 @default.
- W4306386239 hasPrimaryLocation W43063862391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1488849240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1567903335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1591673276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1596961807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2491168311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2626892081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3120000726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3149781499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4294723772 @default.
- W4306386239 hasRelatedWork W4308476550 @default.
- W4306386239 hasVolume "107" @default.
- W4306386239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0638623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0638623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