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11093039> ?p ?o ?g. }
Showing items 1 to 39 of
39
with 100 items per page.
- W4311093039 endingPage "149" @default.
- W4311093039 startingPage "133" @default.
- W4311093039 abstract "본고에서는 ‘모빌리티’라는 키워드를 통해 공적 미디어인 교과서 안에 재편성되는 젠더 이분법적 내용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해체함으로써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을 조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교과서 안에 내재된 ‘남성 대 여성’이라는 정치적인 이분법을 해체하고 젠더규범으로부터 탈주하여 ‘공생사회’를 체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젠더’ 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비정치적이고 보편적인 ‘모빌리티’라는 키워드를 활용하여 교과서 안에 내포되어 있는 젠더양상을 제시하고 그 젠더의 형성과 해체의 반복이 빚어내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시각텍스트만을 분석범위로 하여 한국의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 (총12권)와 저본으로 삼은 일본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총10권) 합계 22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 작업으로 교과서 안의 커리큘럼에서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모빌리티의 불균형과 젠더규범 중 정형화된 성별역할분업을 추적해보았다. 첫째, 모빌리티 역량의 차이와 모빌리티 공간/장소성이 갖는 의미가 젠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모빌리티의 시선이 가진 남녀문화의 정형성을 구축해내는 내용을 파악해보았다. 두 번째 작업으로서 모빌리티라는 렌즈를 통해 새로운 ‘젠더’의 가능성을 진단해보았다. 첫째, 모빌리티를 통해 기존 젠더질서에서 탈피할 수 있는 ‘인식의 이동’ 가능성을 분석했다. 둘째, 임모빌리티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가사와 육아활동 등은 남녀 한쪽만의 특화된 일이 아니라 모성·부성의 조화, 즉 모성도 부성도 아닌 모친업(母親業)에서 부모업(親業)이라는 인식으로 전환함으로써 남녀협업의 보편적인 일임을 알아보았다. 셋째, 모빌리티프리를 통해 문화의 혼종성을 추출해보았다." @default.
- W4311093039 created "2022-12-23" @default.
- W4311093039 creator A5078493599 @default.
- W4311093039 date "2022-11-30" @default.
- W4311093039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311093039 title "The Keyword ‘Mobility’ and Possibility of a New ‘Gend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isual Texts in the Textbook of “High School Japanese I and II” in Korea and the Textbook of “Japanese Language” for Elementary Schools in Japan" @default.
- W4311093039 doi "https://doi.org/10.21808/kjje.61.08" @default.
- W4311093039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311093039 type Work @default.
- W4311093039 citedByCount "0" @default.
- W431109303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11093039 hasAuthorship W4311093039A5078493599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 C145420912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Score W4311093039C145420912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Score W4311093039C15744967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Score W4311093039C41008148 @default.
- W4311093039 hasConceptScore W4311093039C95457728 @default.
- W4311093039 hasLocation W43110930391 @default.
- W4311093039 hasOpenAccess W4311093039 @default.
- W4311093039 hasPrimaryLocation W43110930391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093578348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096946506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350741829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358668433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376932109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382290278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390279801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766271392 @default.
- W4311093039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11093039 hasVolume "61" @default.
- W4311093039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1109303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1109303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