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11891307> ?p ?o ?g. }
Showing items 1 to 51 of
51
with 100 items per page.
- W4311891307 endingPage "286" @default.
- W4311891307 startingPage "259" @default.
- W4311891307 abstract "랑그독은 흔히 ‘절대왕정의 예외’라고 불리며 구체제 프랑스에서 가장 독특한 지방이었다. 랑그독의 지방신분회는 중앙 행정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재정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국왕과 왕실 납부액을 협상하고, 신분회가 자율적으로 심의하여 결정할 수 있었으며, 지방에 필요한 금액을 별도로 징수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랑그독 신분회가 가진 이러한 자율성은 17-18세기 동안 정치적 투쟁을 통해 얻어낸 것이었다. 루이 14세가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 프롱드 난이 발발하여 파리의 정국이 불안정해진 틈을 타 재정적 자율성을 확보했고, 이후에는 공공 토목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꾸준히 확대해 나갔다. 그리고 랑그독 내 중앙 행정 소속 관직자들의 권한을 점차 축소시켰다. 이렇게 행정적 자율성을 확대시킨 랑그독 신분회는 자율성의 표현으로서 도로망의 확충에 1756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도로공사의 수와 지출 금액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랑그독 신분회는 파리와 독립적인 토목학교를 파리와 몽플리에에 설립했다. 랑그독 신분회가 도로망 확충에 개입한 것은 자율성의 표현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경제적 이유도 작용했다. 당대인들은 지역간 생산 불균형을 해소하여 모두의 부를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도로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렇더라도 도로는 그 자체로 자명하지 않았다. 모든 도로는 인간의 정치적 선택에 따른 결과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아를레트 주아나는 단순한 중앙집권화-분권화에서 벗어나 이중 중앙집중화로 랑그독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앙집중화 논의는 다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에 따라, 행정 영역에 따라 중앙집중화, 분권화 등의 문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18세기의 중앙 행정과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에는 모두 이론적 중앙집중화와 실질적인 분권화, 제도적 표준화와 예외 지방의 단독 표준화, 그리고 국왕이 의도한 분권화와 지방의 자율성 확보 및 자체적인 중앙집중화가 모두 뒤섞여 있었다. 이러한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방사 서술에 일정한 제언을 할 수 있다. 즉, 역사의 흐름에 단순하게 휩쓸리는 지방이 아니라 나름의 동력을 가지고 중앙에 연쇄적인 파동을 일으키는 지방의 모습을 서술해야 할 것이다." @default.
- W4311891307 created "2023-01-02" @default.
- W4311891307 creator A5053376877 @default.
- W4311891307 date "2022-11-30" @default.
- W4311891307 modified "2023-09-28" @default.
- W4311891307 title "Public Works in 17-18th Century Languedoc : Provincial Estates of Languedoc and Question of Centralization-Decentralization" @default.
- W4311891307 doi "https://doi.org/10.37924/jssw.88.9" @default.
- W4311891307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311891307 type Work @default.
- W4311891307 citedByCount "0" @default.
- W431189130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11891307 hasAuthorship W4311891307A5053376877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36264566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36810230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48383697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62324750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26271046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6303427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36264566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36810230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48383697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62324750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7744445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199539241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205649164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26271046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6303427 @default.
- W4311891307 hasConceptScore W4311891307C95457728 @default.
- W4311891307 hasLocation W43118913071 @default.
- W4311891307 hasOpenAccess W4311891307 @default.
- W4311891307 hasPrimaryLocation W43118913071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1740368478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015866267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022933094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078240037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346135996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363478826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2611707318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3122762027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3125702298 @default.
- W4311891307 hasRelatedWork W623191432 @default.
- W4311891307 hasVolume "88" @default.
- W4311891307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1189130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1189130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