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13492414> ?p ?o ?g. }
Showing items 1 to 43 of
43
with 100 items per page.
- W4313492414 endingPage "76" @default.
- W4313492414 startingPage "38" @default.
- W4313492414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은 어떤 수준이며, 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관심을 주목하였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수준은 성, 연령, 지역 등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배경요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미디어 활동, 자아존중감, 적극적 인지성향과 같은 내적 요인이 한 개인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를 설명하는 데 얼마만큼의 설명력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에 실시한 미디어패널 데이터를 사용했다. 또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를 콘텐츠 구분역량, 비판적 정보 이해역량, 메시지 이해역량, 미디어이미지 평가역량의 4개 차원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은 5점 만점에 M = 2.97로 낮게 나왔다. 또 예상대로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젊을수록 높게 나왔다. 세대별로 보면 1인 가구보다는 부부+자녀로 구성된 2세대 가구에서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이 높게 나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역별 차이도 흥미롭게 나왔는데, 강원지역의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다. 또 하위차원별로 살펴보면, 콘텐츠 구분역량이 M = 3.28로 가장 높았고, 그 외 비판적 정보 이해역량, 메시지 이해역량, 미디어이미지 평가역량은 M = 2.76 ∼ 2.88 사이로 3.0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개인차 변인인 자아존중감의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왔고, 60대 이상에서는 적극적 인지성향이 인구사회학적 배경요인보다 설명력이 높게 나왔다. 또 다양한 미디어이용의 영향력은 젊은 층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나이든 사람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default.
- W4313492414 created "2023-01-06" @default.
- W4313492414 creator A5078855756 @default.
- W4313492414 date "2022-12-31" @default.
- W4313492414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313492414 titl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edia Message Literacy Competencies" @default.
- W4313492414 doi "https://doi.org/10.46407/kjci.2022.12.116.38" @default.
- W4313492414 hasPublicationYear "2022" @default.
- W4313492414 type Work @default.
- W4313492414 citedByCount "0" @default.
- W4313492414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13492414 hasAuthorship W4313492414A5078855756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145420912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19417346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547764534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 C97628146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145420912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15744967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19417346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41008148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547764534 @default.
- W4313492414 hasConceptScore W4313492414C97628146 @default.
- W4313492414 hasLocation W43134924141 @default.
- W4313492414 hasOpenAccess W4313492414 @default.
- W4313492414 hasPrimaryLocation W43134924141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100172600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1977201184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2285265964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2348924490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2383579929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3092901078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4213121791 @default.
- W4313492414 hasRelatedWork W4300881127 @default.
- W4313492414 hasVolume "116" @default.
- W4313492414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13492414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13492414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