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78840609> ?p ?o ?g. }
Showing items 1 to 51 of
51
with 100 items per page.
- W4378840609 endingPage "342" @default.
- W4378840609 startingPage "317" @default.
- W4378840609 abstract "논매기소리는 모심기가 끝나고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 농요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악곡이다. 논매기소리에 지역별 연구는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 경기도 등 다양한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남한지역에 편중되었고, 북한 지역의 논매기소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BR 이 중 황해도지역은 한반도의 서북지역으로, 6.25전쟁 때 남한으로 이주한 정착민들에 의해 경기도지역에서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의 일부가 불리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경기도지역에서 불리는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인 아용소리와의 비교를 통해 상호 교섭 양상을 살펴보았다.BR 황해도 논매기소리는 받는소리의 유형에 따라 아용소리, 방아소리, 덩기소리, 노젓는소리로 구분되는데, 이 중 아용소리와 덩기소리가 황해도 논매기소리에서만 나타나는 악곡이며, 아용소리는 현재 남한의 강화도와 인천 지역에서 불리고 있다.BR 아용소리는 받는소리의 선율진행 시 시작음에서 장 2도 아래로 하행 후 상행하여 음을 강하게 요성하는 특징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진경토리의 음구조에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나타나는 유형과 전형적인 수심가토리로 구성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BR 이 중 남한 지역에 정착된 아용소리는 진경토리의 음구조에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황해도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음구조 유형이 유입되었다. 강화도 교동면에 유입되어 정착된 이후 서곶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do’음에서 요성하는 시김새가 없어지면서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옅어지게 되었다." @default.
- W4378840609 created "2023-06-01" @default.
- W4378840609 creator A5043439704 @default.
- W4378840609 date "2023-04-30" @default.
- W4378840609 modified "2023-10-07" @default.
- W4378840609 title "Musical Characteristics of Rice-paddy Weeding songs in Hwanghae-do Province and regional influence" @default.
- W4378840609 doi "https://doi.org/10.56100/kfs.2023.4.67.317" @default.
- W4378840609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78840609 type Work @default.
- W4378840609 citedByCount "0" @default.
- W437884060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78840609 hasAuthorship W4378840609A5043439704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15334960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39432304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558565934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6557445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8558207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86803240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 C88463610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127413603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142362112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15334960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3392354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39432304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558565934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6557445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85582077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86803240 @default.
- W4378840609 hasConceptScore W4378840609C88463610 @default.
- W4378840609 hasLocation W43788406091 @default.
- W4378840609 hasOpenAccess W4378840609 @default.
- W4378840609 hasPrimaryLocation W43788406091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154091970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1985401686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012857020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051466378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362236302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364633090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738697492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2806687001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4220688472 @default.
- W4378840609 hasRelatedWork W4362677591 @default.
- W4378840609 hasVolume "67" @default.
- W4378840609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7884060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7884060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