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3721123> ?p ?o ?g. }
Showing items 1 to 50 of
50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3721123 endingPage "260" @default.
- W4383721123 startingPage "249" @default.
- W4383721123 abstract "등반 놀이기구(Climber, 일명 Jungle Gym, monkey climbing bars)는 오랫동안 세계 각 지역의 어린이들에게 사랑받아 왔으며 어린이 놀이 공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 단일한 형태에서 오늘날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어린이의 놀이와 어린 시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디자이너는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거나 이전 스타일을 모방해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본질적인 이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많은 등반 놀이기구를 조사하고 놀이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등반 놀이기구는 크게 목적지가 있는 등반 놀이기구와 목적지가 없는 등반놀이기구,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등반 놀이의 분석을 통해 움켜잡기(graspability), 전망성(prospective), 모험성(adventurous) 및 탐색성(exploratory)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진화미학 이론을 기반으로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세 가지 이유를 등반 놀이기구의 특성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경 미학의 선행연구와 어린이의 두뇌 보상회로 (Brain Reward System)을 결합하여 어린이 뇌의 등반 놀이기구 선호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 선호하는 이유는 이 시설이 어린이들의 발달감성에 맞기 때문이다. 첫째, 원시적인 생활 환경이 유인원의 형질을 가진 어린이들의 등반 선호로 이어졌다. 둘째, 등반 놀이기구가 갖는 전망성은 어린이들의 안정감 선호에 부합한다. 셋째, 등반 놀이기구의 모험성과 탐구성은 어린이의 탐구 선호도에 부합한다. 또한, 등반 놀이기구의 모험성과 탐구심이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모두 두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좋은 감정을 생성하며 어린이의 인지 능력 향상을 촉진시키는 발달 학습으로서 유희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진화미학과 신경미학의 이론에 기초하여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오르는 그립성, 전망성, 모험성 및 탐색성을 선호한다고 주장한다. 또 한 호이징가의 호모 루덴스처럼 등반 놀이기구의 유희적 특성이 아이들의 두뇌와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됨을 검증하였다." @default.
- W4383721123 created "2023-07-11" @default.
- W4383721123 creator A5018893628 @default.
- W4383721123 creator A5074642572 @default.
- W4383721123 date "2023-06-30" @default.
- W4383721123 modified "2023-09-23" @default.
- W4383721123 title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Climber" @default.
- W4383721123 doi "https://doi.org/10.18208/ksdc.2023.29.2.249" @default.
- W4383721123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3721123 type Work @default.
- W4383721123 citedByCount "0" @default.
- W4383721123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3721123 hasAuthorship W4383721123A5018893628 @default.
- W4383721123 hasAuthorship W4383721123A5074642572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105795698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166957645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2776410375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2781249084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33923547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 C95038775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105795698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15744967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166957645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205649164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2776410375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2781249084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33923547 @default.
- W4383721123 hasConceptScore W4383721123C95038775 @default.
- W4383721123 hasIssue "2" @default.
- W4383721123 hasLocation W43837211231 @default.
- W4383721123 hasOpenAccess W4383721123 @default.
- W4383721123 hasPrimaryLocation W43837211231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1974353386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066059405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075877034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106054818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154901060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331805603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333539729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2387420758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3147483844 @default.
- W4383721123 hasRelatedWork W4383721123 @default.
- W4383721123 hasVolume "29" @default.
- W4383721123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3721123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3721123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