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5280881> ?p ?o ?g. }
Showing items 1 to 53 of
53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5280881 endingPage "37" @default.
- W4385280881 startingPage "11" @default.
- W4385280881 abstract "이 글은 중일전쟁기 일본에서 번역출판된 이광수 소설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이광수 표상이 어떻게 구성되어갔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내선일체 운동이 추진되던 중일전쟁기 일본에서 모던일본사 사장 마해송은 이광수의 소설을 번역출판했고, 이광수를 일본인의 친구이자 조선 근대 문학의 아버지로 홍보했다. 그러나 일본문예 평론집 『사변하의 문학』(이타가키 나오코)과 『대륙과 문학』(아사미 후카시)에서 이광수는 후진적인 식민지 문학작가로서 표상되었다. 두 평론가에 의해 이광수의 번역소설들은 근대문학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문학, 대륙적인 것을 완성하지 못한 문학, 내선 일체 이념을 충족시키지 못한 문학으로서 평가받았다. 모던일본사 측의 소개에 의해서 상찬되었던 이광수는 당대 일본의 비평 담론에서는 열등한 조선문학의 대표자로 위치 지어졌다.BR 한편, 이광수는 번역소설의 출판을 계기로 자신의 소설이 일본어로 온전히 번역되지 못하는 현실에 직면하고, 조선어와 일본어의 차이를 고민하고 발화하게 된다. 이광수는 중일전쟁기의 평론에서 확신에 찬 내선일체론자로 자신을 표상했지만, 같은 시기의 좌담에서는 번역가능성에 회의적인 조선문학자로서 자기를 드러냈다.BR 이광수는 조선문단의 내지문단으로의 통합과정에서 가장 주목받은 작가였지만, ‘번역’을 통한 통합의 과정은 매끄럽지 않았다. 모던일본사 측이 만들어낸 이광수 표상, 일본인 평론가들에 의해 구축된 이광수 표상, 이광수 스스로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표상은 불협화음을 생성하며 ‘문학에 있어서의 내선일체’라는 환상을 방해한다. 중일전쟁기의 ‘만선문학’ , ‘식민지 문학’, ‘내선일체 문학’ 과 같은 식민주의적인 문학담론들 속에서, 또 ‘서구 근대문학’과 ‘일본 근대문학’과 같은 일률적인 기준들 앞에서, 이광수 소설의 고유성에 대한 탐구는 좀처럼 이루어질 수 없었다." @default.
- W4385280881 created "2023-07-27" @default.
- W4385280881 creator A5029311318 @default.
- W4385280881 date "2023-07-31" @default.
- W4385280881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385280881 title "Study on the Acceptance of Lee Gwang-sus Translated Japanese Novels During the Period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Dynamism of Lee Gwang-sus Representation" @default.
- W4385280881 doi "https://doi.org/10.31809/crj.2023.06.30.011" @default.
- W4385280881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5280881 type Work @default.
- W4385280881 citedByCount "0" @default.
- W438528088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5280881 hasAuthorship W4385280881A502931131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07038049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1147272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199539241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2775836275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277635936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2781291010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9462575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07038049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1147272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3888566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4236211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7744445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199539241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2775836275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2776359362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2781291010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94625758 @default.
- W4385280881 hasConceptScore W4385280881C95457728 @default.
- W4385280881 hasLocation W43852808811 @default.
- W4385280881 hasOpenAccess W4385280881 @default.
- W4385280881 hasPrimaryLocation W43852808811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1527035245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2058398140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2324890850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2352287889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2579643896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3090773813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4200538706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4206651384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4245035398 @default.
- W4385280881 hasRelatedWork W4385280881 @default.
- W4385280881 hasVolume "26" @default.
- W4385280881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528088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528088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