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6820461> ?p ?o ?g. }
Showing items 1 to 52 of
52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6820461 endingPage "61" @default.
- W4386820461 startingPage "31" @default.
- W4386820461 abstract "용인 영문리 유적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산33번지 일원에 위치하는 청동기시대 대규모 취락유적으로 총 70기의 수혈주거지와 12기의 수혈유구가 조사되었고, 수혈주거지 출토유물만 704점에 이른다. 영문리 유적은 주거지의 형태와 유물상, 방사성탄소연대에 따라 장방형계 주거지는 기원전 10세기 정도인 전기 후반으로, 원형(방형)계 주거지는 기원전 8세기를 전후한 중기로 시기가 구분된다. 장방형계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류는 전형적인 역삼동식에 속하는 공렬문, 구순각목문, 구순각목+공렬문이 주를 이루고 높이 30㎝ 이상의 심발형토기가 다수 확인되며 이단병식 석검편과 무경식·이단경식 석촉, 주형석도와 단면 원형의 합인석부, 편인석부, 석착 등이 석기류가 공반된다. 또한 대형 연석과 지석, 미완성 석기가 다량 출토되었고, 특히 조리단계 이전의 동물성식재료와 식물성식재료를 가공하는 용도로 추정되는 다공대석이 주목된다. 원형(방형)계 주거지에서는 공렬문토기가 지속적으로 출토되는 가운데 다양한 기형의 적색마연토기 출토량이 압도적으로 증가하고, 무문토기의 경우 높이 20㎝ 내외의 발형이 주를 이룬다. 석기류는 유병식 석검편과 석창, 일단경식과 일체형식의 석촉, 유구석부와 다두석부편·환상석부편이 출토되었다. 또한 수확 현장에서 두 가지의 다른 작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발전형 도구로 인식되는 측인석도가 다량 출토되었다. 영문리 유적과 더불어 동일 취락권 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주변의 4개소의 석기까지 종합하여 살펴봤을 때, 전기 후반 취락은 수렵구와 어로구의 비중은 낮고, 수확구와 식량처리구의 수치가 월등히 높아 농경과 채집이 생계의 상당부분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이고, 대형지석과 소형지석 등의 석기가공구와 정형단계 혹은 정형 후 부분적으로 고타가 이루어진 석부 미완성품이 다량 출토된 것으로 보아 석기를 전문적으로 제작하여 자체공급 하였거나 외부로 공급·유통하는 생계를 이어갔던 석기전문 제작집단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중기 취락은 전기와 달리 석기가공구의 출토량은 미완성품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세밀한 입자의 소형 지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아 석기의 제작보다는 세부적인 가공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철저하게 농경에 초점이 맞춰진 유물상을 보이고 있어 두 시기간 생업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fault.
- W4386820461 created "2023-09-19" @default.
- W4386820461 creator A5000295358 @default.
- W4386820461 date "2023-08-31" @default.
- W4386820461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386820461 title "Analysis of Relics of the Bronze Age Villages in Yong-in Yeongmun-ri -with a stone tool as the center-" @default.
- W4386820461 doi "https://doi.org/10.46760/jbgogo.2023.22.2.31" @default.
- W4386820461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6820461 type Work @default.
- W4386820461 citedByCount "0" @default.
- W4386820461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6820461 hasAuthorship W4386820461A5000295358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12087609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166957645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185592680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19524488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205649164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277847804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2779463800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801053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 C95457728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12087609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142362112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166957645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185592680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19524488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205649164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277847804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2779463800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8010536 @default.
- W4386820461 hasConceptScore W4386820461C95457728 @default.
- W4386820461 hasIssue "2" @default.
- W4386820461 hasLocation W43868204611 @default.
- W4386820461 hasOpenAccess W4386820461 @default.
- W4386820461 hasPrimaryLocation W43868204611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1972172863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2095577891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2228618275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2921426442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2979312589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3033129804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4235173367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4313816046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581467798 @default.
- W4386820461 hasRelatedWork W626668513 @default.
- W4386820461 hasVolume "22" @default.
- W4386820461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6820461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6820461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