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003609> ?p ?o ?g. }
Showing items 1 to 45 of
45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003609 endingPage "329" @default.
- W4387003609 startingPage "305" @default.
- W4387003609 abstract "본 연구는 교과과목으로서 임상목회교육이 목회자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점검하고 목회자가 목회현장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임상목회교육이 목회자가 목회현장에서 실천적 역량을 높이고,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목회교육이 신학생들의 목회돌봄 방법 향상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 한 항목으로, 신학생들의 자기이해, 자기관리 및 자기평가, 상담실습과 정체성 인식, 목회자 역량 인식, 그리고 관계에 대한 수용성과 개방성 등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임상목회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목회상담자로서 고난을 겪는 내 담자를 잘 돌보고 있는지 평가하고, 내담자의 심리사회적 및 영적인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받았다. 그 과정은 학습목표에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매 주 목회적 돌봄에 관련된 강의를 듣고 내담자와 상담한 내용을 축어록의 형태로 기록 하고 기록한 축어록을 발표한다. 또한 질문, 공감, 내담자 이해와 분석과 목회상담자 자신의 이해 및 신학적인 통찰을 학습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전 조사는 수업 신청의 동기와 기대 및 수업과 관련한 자기 이해, 정체성, 전문성에 관한 항목으로 작성하였고, 작성된 항목은 다중응답형과 주관식 서 술형 문항을 기술하며 Likert 5점 척도형으로 제시했다. 사후 조사는 수업목표 달성도 와 수업 만족도, 임상교육의 역할인식에 관하여 Likert 5점 척도형, 선다형, 자유 기술 형으로 제시했다. 연구자는 본 연구가 목회자의 정체성을 이해함과 더불어, 대인관계 및 전문적인 상담목회 기술 향상을 통해, 신학과 목회활동을 통합하고, 신학적인 성찰 을 돕고 건강한 목회자 양성에 이바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default.
- W4387003609 creat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09 creator A5071678183 @default.
- W4387003609 date "2023-09-30" @default.
- W4387003609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09 title "Pastoral Counseling Resources and Their Utilization in Clinical Pastoral Education" @default.
- W4387003609 doi "https://doi.org/10.14387/jkspth.2023.86.305" @default.
- W4387003609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003609 type Work @default.
- W4387003609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003609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003609 hasAuthorship W4387003609A5071678183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105776082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138496976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42653909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509550671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105776082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138496976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15744967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42653909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509550671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542102704 @default.
- W4387003609 hasConceptScore W4387003609C71924100 @default.
- W4387003609 hasLocation W43870036091 @default.
- W4387003609 hasOpenAccess W4387003609 @default.
- W4387003609 hasPrimaryLocation W43870036091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1973109583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1996318672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013011291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019649292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072110275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100576973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3017346089 @default.
- W4387003609 hasRelatedWork W4288077497 @default.
- W4387003609 hasVolume "86" @default.
- W4387003609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003609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003609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