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003636> ?p ?o ?g. }
Showing items 1 to 43 of
43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003636 endingPage "407" @default.
- W4387003636 startingPage "385" @default.
- W4387003636 abstract "공감이라는 개념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하다. 현대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더욱 발전 해 가면서 개인 중심의 생활방식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와는 반대로 인간은 더 욱 소외되고 단절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가 보이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까지 거론되는 공감에 대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 정리를 실시해 보았다. 공감이라는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추적하면서 왜 공감이 모호한 개념인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공감에 대한 정의조차 합의되지 않은 채 지금 까지 올 수 있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공감의 개념 안에는 혼란스러움과 혼돈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감은 매우 힘 있는 개념이 아닐 수 없다. 임상의 현장에서 공감을 중요시 여기며 적극적으로 활 용한 하인즈 코헛을 통해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코헛에 의하면 공감은 과학적 관찰 기법으로써 볼 수 있고, 정서적인 명료화 체험을 가능케 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공감은 인간에게 정신적 산소를 제공할뿐더러, 인간의 창조 작업을 가능케 하는 힘까지 있다. 이러한 코헛의 공감 이해를 받아들여 재해석한 크리스 슐라흐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공감을 목회상담자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연구자는 공감을 ‘앎 의 방식’과 ‘관계의 방식’으로 규명한 슐라흐의 모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공감을 목회상담자의 ‘알아가는 방식’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공감을 사용 하는 목회상담자의 자세와 태도가 목회상담 현장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연구자는 공감이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실시한 후 임상적 현장, 특히 목회상담 현장에서 목회상담자 중심으로 공감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목회상담에서의 공감의 함의를 통해 공감적 상담을 실시하려 는 목회상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회상담자가 공감을 사용하되 실수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또한 기대 해 본다." @default.
- W4387003636 creat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36 creator A5030469265 @default.
- W4387003636 date "2023-09-30" @default.
- W4387003636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36 titl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mpathy and Its Implications in Pastoral Counseling" @default.
- W4387003636 doi "https://doi.org/10.14387/jkspth.2023.86.385" @default.
- W4387003636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003636 type Work @default.
- W4387003636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003636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003636 hasAuthorship W4387003636A5030469265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11171543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2779885105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42653909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11171543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15744967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2779885105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42653909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542102704 @default.
- W4387003636 hasConceptScore W4387003636C77805123 @default.
- W4387003636 hasLocation W43870036361 @default.
- W4387003636 hasOpenAccess W4387003636 @default.
- W4387003636 hasPrimaryLocation W43870036361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1988207302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053627212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063382329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064101415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419473311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3097045047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4232582393 @default.
- W4387003636 hasRelatedWork W4239074740 @default.
- W4387003636 hasVolume "86" @default.
- W4387003636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003636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003636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