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003668> ?p ?o ?g. }
Showing items 1 to 51 of
51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003668 endingPage "518" @default.
- W4387003668 startingPage "497" @default.
- W4387003668 abstract "본 논문은 나노사회에서 발생된 관음증-중독청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노 사회에서 편중된 시각적 왜곡의 해소를 유도하려는 것이다. 시각적 왜곡의 문제는 나 노사회에서 더욱 심화된 고립감에서 발생된 편향된 행동이다. 이런 관음증-중독청년 의 시각적 왜곡의 해소로 공동체적 관계 개선을 시도하려고 한다. 청년의 관음증이란 개인주의적인 나노사회에서 고립된 개인적 행동이다. 관계의 고립은 편향된 행동이며 나노시대의 특징이다. 고립된 개인화의 결과로 소통이 단절 되고 욕망이 억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립된 욕망은 그 분출구를 찾으려는 무의식 의 시도가 이어지는 편이다. 리비도 욕구는 청년에게는 생명 활동으로서의 에너지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무의식적 본능이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사회의 삶 속에서 각자생 존의 치열함이 청년의 욕구를 억압하는 경향이다. 이런 성적인 욕구의 불(不)충족은 오히려 성적 집착으로 변질되어 편향되게 한다. 리비도의 결핍은 공동체에서 벗어난 시각적 왜곡이 관음증-중독으로 이행되는 것에 주목한다. 편향된 시각적 문제를 생명 본능의 리비도 이론으로 해결을 시도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청년에게 시각적 편향의 문제를 조절하게 한다. 비정상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시각적 왜곡의 교정은 나노사회에서 극단의 개인적 행동의 개선을 의미한다. 청년의 시각적 의존의 해소가 리비도 욕구의 불만족이 보완되는 효 과이기 때문이다. 결국 시각적 편향의 문제 해결이 청년에게 관음증-중독에서 탈피하 여 공동체성을 회복하게 하는 결과의 산출이다. 이는 나노사회에서 새로운 협력과 관 계의 개선이다." @default.
- W4387003668 creat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68 creator A5051359801 @default.
- W4387003668 date "2023-09-30" @default.
- W4387003668 modified "2023-09-26" @default.
- W4387003668 title "Counseling Treatment through Resolution of Visual Distortion of Voyeurism-addicted Youth in Nano Society - Focusing on Freud's Libidor Theory -" @default.
- W4387003668 doi "https://doi.org/10.14387/jkspth.2023.84.497" @default.
- W4387003668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003668 type Work @default.
- W4387003668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003668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003668 hasAuthorship W4387003668A5051359801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11171543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121332964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12678089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19425762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277804091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277851050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4636274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4904081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 C542102704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11171543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121332964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12678089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1574496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19425762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277804091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2778510506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4636274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49040817 @default.
- W4387003668 hasConceptScore W4387003668C542102704 @default.
- W4387003668 hasLocation W43870036681 @default.
- W4387003668 hasOpenAccess W4387003668 @default.
- W4387003668 hasPrimaryLocation W43870036681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1567275599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500610519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591450899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624973613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924597403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954692845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419033300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4249320396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4385697898 @default.
- W4387003668 hasRelatedWork W2289551972 @default.
- W4387003668 hasVolume "86" @default.
- W4387003668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00366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003668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