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347130> ?p ?o ?g. }
Showing items 1 to 37 of
37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347130 endingPage "56" @default.
- W4387347130 startingPage "37" @default.
- W4387347130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谷雲 金壽增(1624-1701)의 시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시 세계의 양상과 특징적 국면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 역사적 의미를 생각해보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본고는 곡운 문학의 주요 주제인‘은둔 지향’의 의미를 재점검하는 데서 논의의 단서를 찾았다. 나아가 곡운이 당대의 주요 문인들과의 폭넓은 교유가 있었던 점에 유의하면서, 그의 문학이 가지는 특징적 국면의 해명을 통해 17세기 문학의 이해를 심화 내지 확장하는 계기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곡운 김수증의 시 세계 양상과 특징적 국면을 살펴보았다. 그의 시 세계를 ‘不遇의 현실과 召命意識’과 ‘景物에의 感興과 處士的 志向’의 두 가지 특징적 국면으로 나누고, ‘不遇의 현실과 召命意識’에서는 곡운 시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인 不遇에 관한 시를 살펴보고, 아울러 불우를 겪는 과정에서 곡운이 선택한 삶의 태도나 의식 지향이 召命意識에 있었음을 상정해보았다. 그리하여 그의 소명의식은 사대부의 기본인 입신양명이나 經世至治에 대한 생각과 함께 가문의 유지와 보전 내지 창달의 책무가 보다 큰 비중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景物에의 感興과 處士的 志向’에서는 곡운이 붕당정치의 격랑 속에서 부침을 겪으면서 중앙 정계로부터 격리된 처사의 삶을 살았지만, 隱者내지 隱遁의 그것과는 변별되는 점에 주목했다. 그런 시각에서 그의 시작품을 살펴본 결과 곡운의 삶의 선택은 결코 山野에 묻혀 숨어 산다거나 세상으로부터 도피하려한 것이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곡운 시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주자학적 세계관을 가진 작가에서 나온 시라고 해도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동시대에서도 다양한 분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곡운은 힘겨운 삶의 과정에서도 결코 도피하거나 感傷에 빠지지 않고 스스로를 지켜 나아갔으며, 그 결과 그의 문학은 경물을 바라보는 심미적 시선이나 관조적 태도에서 새로운 문학적 성취에 도달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default.
- W4387347130 created "2023-10-05" @default.
- W4387347130 creator A5003947280 @default.
- W4387347130 date "2023-08-31" @default.
- W4387347130 modified "2023-10-06" @default.
- W4387347130 title "A Study for Gokun's Poetry" @default.
- W4387347130 doi "https://doi.org/10.52743/hr.66.2" @default.
- W4387347130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347130 type Work @default.
- W4387347130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3471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347130 hasAuthorship W4387347130A5003947280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 C124952713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 C164913051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Score W4387347130C124952713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Score W4387347130C142362112 @default.
- W4387347130 hasConceptScore W4387347130C164913051 @default.
- W4387347130 hasLocation W43873471301 @default.
- W4387347130 hasOpenAccess W4387347130 @default.
- W4387347130 hasPrimaryLocation W43873471301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1531601525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378006022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758277628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935909890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948807893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3173606202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3183948672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2778153218 @default.
- W4387347130 hasRelatedWork W3110381201 @default.
- W4387347130 hasVolume "66" @default.
- W43873471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3471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3471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