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382645> ?p ?o ?g. }
Showing items 1 to 47 of
47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382645 endingPage "199" @default.
- W4387382645 startingPage "167" @default.
- W4387382645 abstract "본 연구는 1913년과 1920년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영문판 『조선교육요람』의 분석을 기반으로 『제1차 조선교육령』이 공포된 1911년부터 『제2차 조선교육령』이 공포된 1922년 사이의 식민지 교육정책을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1913년과 1920년 『조선교육요람』의 영어 텍스트에서 기술된 교육기관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이 시행한 교육정책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양적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를 역사와 언어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질적 분석을 종합적으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교육요람』 영문판(1913년, 1920년)의 연도별 핵심어의 출현빈도를 계산한 후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자주 등장한 기관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분산표상 모델을 활용해 ‘school(학교)’의 유사어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교육기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일본은 교육기관의 운영 주체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정책을 펼쳤으며, 다양한 유형의 교육기관을 통해 조선인에게 저급하고 차별적인 교육정책을 시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 『조선교육요람』 영문판에서는 1913년 『조선교육요람』 영문판에서보다 표면적으로는 더 다양한 유형의 교육기관이 서술되어 조선의 교육정책이 발전한다는 인상을 주었지만, 실제로는 이전보다 더 구체적이고 교묘하게 식민지 교육정책을 이어 나가고자 한 정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1920년 영문판 『조선교육요람』의 흐름은 『제1차 조선교육령』 간행 약 11년 후 일본인과 동일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한다고 발표하였지만 실제로는 계속해서 차별적인 정책이 시행된 『제2차 조선교육령』의 모습과 닮아있다. 결국 일본이 『제1차 조선교육령』 발행부터 『제2차 조선교육령』 발행 전까지 지속적으로 우민 양성 교육정책에 집중하였음이 본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역사 연구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default.
- W4387382645 created "2023-10-06" @default.
- W4387382645 creator A5035282552 @default.
- W4387382645 creator A5093011893 @default.
- W4387382645 date "2023-08-31" @default.
- W4387382645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387382645 title "Analysi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anual of Education of Koreans(1913) and Manual of Education in Chosen 1920(1920) Published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with Word Frequency Analysis and Distributed Representation Model" @default.
- W4387382645 doi "https://doi.org/10.31658/dshr.37.6" @default.
- W4387382645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382645 type Work @default.
- W4387382645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382645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382645 hasAuthorship W4387382645A5035282552 @default.
- W4387382645 hasAuthorship W4387382645A5093011893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14542091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17744445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2778137410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4189520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 C90805587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13888566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14542091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15744967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17744445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2778137410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41895202 @default.
- W4387382645 hasConceptScore W4387382645C90805587 @default.
- W4387382645 hasLocation W43873826451 @default.
- W4387382645 hasOpenAccess W4387382645 @default.
- W4387382645 hasPrimaryLocation W43873826451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1569283511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053866214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231795205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280760317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574567558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607505004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4236193183 @default.
- W4387382645 hasRelatedWork W4297166097 @default.
- W4387382645 hasVolume "37" @default.
- W4387382645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382645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382645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