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406502> ?p ?o ?g. }
Showing items 1 to 51 of
51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406502 endingPage "230" @default.
- W4387406502 startingPage "193" @default.
- W4387406502 abstract "본 논문은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영성이 이적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논문에서 마가공동체의 사회적·역사적 정황과 영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예수의 영성을 추적하였다. 본 논문은 동방정교회나 로마 가톨릭교회가 영성의 삶을 규정할 때 사용한 그리스 철학 전통에 기반을 둔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tool)에 대비되는 성서에 기반을 둔 마가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이적 영성을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로 제시하였다. 필자는 마가공동체에는 두 그룹이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즉, 한 그룹은 묵시적 소종파 그룹이며, 다른 그룹은 예수의 이적을 선호하는 영성 그룹이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학자들은 마가공동체는 주로 묵시적 소종파 그룹으로 구성되었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마가공동체에는 예수의 이적을 선호한 영성 그룹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두 그룹은 마가공동체가 처한 유대-로마 전쟁의 핍박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들이 선호하는 신학 혹은 영성 사상을 가지고 핍박을 극복하려고 했다고 추정한다. 특히,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은 예수가 행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을 통하여 자신들의 핍박 상황에서 예수의 이적이 재현되어 구원받기를 희망했다고 본다. 따라서 마가공동체의 영성 그룹이 계승한 축귀, 병 고침 그리고 자연 이적은 예수의 이적 영성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사회학적 성서해석과 마가복음서와 다른 복음서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논문이 의미 있는 것은 이적이 예수의 영성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로는 규정할 수 없었던 영성사에 나타난 이적가를 영성가로 재평가할 수 있는 성서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지금까지 그리스 전통의 관상과 활동이라는 해석학적 도구와 대비되는 성서적이고, 영성 신학적이며, 그리고 개신교적인 새로운 해석학적 도구를 부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default.
- W4387406502 created "2023-10-07" @default.
- W4387406502 creator A5069324701 @default.
- W4387406502 date "2023-09-30" @default.
- W4387406502 modified "2023-10-08" @default.
- W4387406502 title "Spirituality of Jesus’ Miracle in the Gospel of Mark" @default.
- W4387406502 doi "https://doi.org/10.17301/tf.2023.9.113.193" @default.
- W4387406502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406502 type Work @default.
- W4387406502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40650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406502 hasAuthorship W4387406502A5069324701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13888566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14236211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142724271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20478744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2466777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2720621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277887544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2781384534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514793146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13888566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14236211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142724271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20478744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2466777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27206212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2778875440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2781384534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514793146 @default.
- W4387406502 hasConceptScore W4387406502C71924100 @default.
- W4387406502 hasLocation W43874065021 @default.
- W4387406502 hasOpenAccess W4387406502 @default.
- W4387406502 hasPrimaryLocation W43874065021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1870662312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2334832980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2762656146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2884117324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2892025634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4293660979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4313816873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581056945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657041153 @default.
- W4387406502 hasRelatedWork W2514609562 @default.
- W4387406502 hasVolume "113" @default.
- W4387406502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40650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40650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