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4387477717> ?p ?o ?g. }
Showing items 1 to 50 of
50
with 100 items per page.
- W4387477717 endingPage "165" @default.
- W4387477717 startingPage "135" @default.
- W438747771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생산적 활동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 정책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20년 8차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4,344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생산적 활동 유형은 유급활동/무급활동/자기돌봄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참여 유형 집단별 특성과 삶의 만족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등을 실행하였으며,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절반 이상인 55.5%의 노인은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각 유형별 참여 집단의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남성 노인의 경우, 유급활동 참여비율이 64.5%로 높은 반면 여성은 무급활동(80.9%)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였다. 자기 돌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다른 활동에 비하여 70대 이상(76.5%)의 고연령, 고등학교 졸업이상(43.1%)의 고학력 노인의 참여 비율이 높았으며, 공적이전소득 평균(725.82만원)과 자산총액 평균(143.83)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생산적 활동 유형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위집단보다 높았으며, 참여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각 유형별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급노동(68.34점), 자기돌봄(64.81점), 유급활동(64.70점), 무위(57.99점) 순이었으며, 이러한 평균 차이는 일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산적 활동 유형인 유급/무급/자기돌봄 활동 유형 참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자기돌봄 유형 참여(β=.062, p.002)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노년층을 위한 신노년 정책의 방향성과 ‘노년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default.
- W4387477717 created "2023-10-11" @default.
- W4387477717 creator A5024349708 @default.
- W4387477717 date "2023-09-30" @default.
- W4387477717 modified "2023-10-16" @default.
- W4387477717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n Older Adults" @default.
- W4387477717 doi "https://doi.org/10.21194/kjgsw.78.3.202309.135" @default.
- W4387477717 hasPublicationYear "2023" @default.
- W4387477717 type Work @default.
- W4387477717 citedByCount "0" @default.
- W4387477717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4387477717 hasAuthorship W4387477717A5024349708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126322002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144024400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149923435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15744967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2780945536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71924100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74909509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77805123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 C99476002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126322002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144024400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149923435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15744967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2780945536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71924100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74909509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77805123 @default.
- W4387477717 hasConceptScore W4387477717C99476002 @default.
- W4387477717 hasIssue "3" @default.
- W4387477717 hasLocation W43874777171 @default.
- W4387477717 hasOpenAccess W4387477717 @default.
- W4387477717 hasPrimaryLocation W43874777171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053487507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067108088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077865380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083375246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085372204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134894512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748952813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765597752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899084033 @default.
- W4387477717 hasRelatedWork W2931662336 @default.
- W4387477717 hasVolume "78" @default.
- W4387477717 isParatext "false" @default.
- W4387477717 isRetracted "false" @default.
- W4387477717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