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758721818> ?p ?o ?g. }
Showing items 1 to 31 of
31
with 100 items per page.
- W758721818 endingPage "132" @default.
- W758721818 startingPage "1" @default.
- W758721818 abstract "길찾기에는 다양한 환경요인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환경요인 중에서 길찾기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공간 구조라고 한다. 하지만, 공간 구조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은 공간 구조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여기서 공간 구조는 '공간의 물리적 배치에 따른 위상적인 연결관계'로 그 의미를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간 구조의 길찾기에 대한 영향은 공간 구문론을 통해서 살피었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는 실험 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경로추적, 설문조사, 스케치 맵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험환경은 환경요인의 통제를 위해서 VRML이라는 컴퓨터 가상환경 언어를 이용하여 코엑스 몰의 3차원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해서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 구조는 길찾기시 공간 이용 빈도와 길찾기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험자는 통합도, 통제도, 연결도가 높은 공간을 중심으로 경로를 선정하며, 목적지가 통합도, 통제도, 연결도가 높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을 때 쉽게 목적지에 도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간 구조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해된다. 즉, 전체 공간에서 접근하기 쉬운 공간, 그리고 이동하면서 다른 공간을 많이 관찰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국부적인 공간 구조에 의해서 반드시 지나치게 될 확률이 높은 공간에 대한 이용빈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설문조사의 분석과 실험자 경로의 무작위로 움직이는 로봇의 경로와의 비교를 통해서 환경 요인이 통제된 실험환경에서는 다양한 환경 요인이 혼재해 있는 현실의 길찾기와 비교했을 때 공간을 인지하고 전체 공간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험자들이 장시간동안 실험환경에서 목적지를 찾기 위해서 공간을 배회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간 구문론이 공간 구조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공간 구조의 길찾기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와 비교할 때, 공간 구조의 길찾기에 대한 영향을 보다 분명히 밝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3차원 가상 환경 언어인 VRML이 길찾기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초점을 공간 구조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한정하고, 공간 구조를 제외한 싸인, 랜드마크, 프로그램등의 환경요인을 배제한 환경속에서 사람들이 길찾기한 행태에 대해서 살폈다. 때문에 다양한 환경 요인이 혼재한 실제의 환경속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길찾기의 영향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배제된 환경 요인에 대한 개별적인 길찾기의 영향을 살핌과 동시에 이들이 어울어진 환경속에서 길찾기 행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default.
- W758721818 created "2016-06-24" @default.
- W758721818 creator A5064277092 @default.
- W758721818 date "2002-01-01" @default.
- W758721818 modified "2023-09-23" @default.
- W758721818 title "공간 구조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efault.
- W758721818 hasPublicationYear "2002" @default.
- W758721818 type Work @default.
- W758721818 sameAs 758721818 @default.
- W758721818 citedByCount "0" @default.
- W758721818 crossrefType "dissertation" @default.
- W758721818 hasAuthorship W758721818A5064277092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 C110875604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 C121684516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 C136764020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 C75625381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Score W758721818C110875604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Score W758721818C121684516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Score W758721818C136764020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Score W758721818C41008148 @default.
- W758721818 hasConceptScore W758721818C75625381 @default.
- W758721818 hasLocation W7587218181 @default.
- W758721818 hasOpenAccess W758721818 @default.
- W758721818 hasPrimaryLocation W7587218181 @default.
- W758721818 isParatext "false" @default.
- W75872181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758721818 magId "758721818" @default.
- W758721818 workType "dissertation"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