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785099752> ?p ?o ?g. }
Showing items 1 to 58 of
58
with 100 items per page.
- W785099752 endingPage "1096" @default.
- W785099752 startingPage "1088" @default.
- W78509975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청사진의 개념과 작성 방법 및 그 활용 의의를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서비스 청사진 기법을 활용하여 고급 레스토랑,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의 서비스 청사진을 설계하고 각 레스토랑 유형별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분석한 결과,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은 유사한 서비스 청사진을 나타낸 반면 패스트푸드점은 다른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은 풀서비스 레스토랑(full-service restaurant)이지만 패스트푸드점은 셀프 서비스 시스템(self-service system)이므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에는 전화 예약과 주차 관련 항목이 있고, 그 중 일부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는 테이크아웃을 하고 있는 점이 차이가 있었다. 패스트푸드점은 전화 예약, 주차 등이 서비스 청사진에서 생략되어 상대적으로 간단한 도면으로 나타났으며, 전화 주문 및 배달 서비스가 있는 점이 다른 두 유형의 레스토랑과 다르게 나타났다. 각 레스토랑 유형별로 상호작용선, 가시선, 내부적 상호작용선, 실행선을 중심으로 5개 구간으로 나뉘었다. 상호작용선을 중심으로 고객의 행동과 서비스 인카운터 접점 종업원의 행동으로 나뉘었으며, 가시선을 중심으로 눈에 보이는 부분과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나뉘었다. 내부적상호작용선을 중심으로 일선과 후방으로 나뉘었고, 실행선을 중심으로 지원 부문과 관리 부문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서비스 청사진 기법을 활용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서비스 인카운터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레스토랑 서비스 인카운터에 청사진 기법을 활용한 초기 연구였기 때문에 가시적으로 레스토랑 유형간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의 성과를 나타냈다. 앞으로 서비스 청사진에 대해 연구할 때 각 스텝 간의 시간을 측정한다면, 어떤 지점에서 서비스 지연이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서비스 청사진과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방법을 병행하면 서비스 실패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default.
- W785099752 created "2016-06-24" @default.
- W785099752 date "2006-08-30" @default.
- W785099752 modified "2023-09-25" @default.
- W785099752 title "The Blueprint of Service Encounter by Types of Restaurants" @default.
- W785099752 cites W1524994608 @default.
- W785099752 cites W17805075 @default.
- W785099752 cites W1984338173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55054375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61044045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71903407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79058128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84486980 @default.
- W785099752 cites W2097792829 @default.
- W785099752 cites W3138446150 @default.
- W785099752 cites W616433057 @default.
- W785099752 doi "https://doi.org/10.3746/jkfn.2006.35.8.1088" @default.
- W785099752 hasPublicationYear "2006" @default.
- W785099752 type Work @default.
- W785099752 sameAs 785099752 @default.
- W785099752 citedByCount "1" @default.
- W785099752 countsByYear W7850997522016 @default.
- W78509975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112698675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127413603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144133560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155911762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162853370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2780378061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 C78519656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112698675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127413603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144133560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155911762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162853370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2780378061 @default.
- W785099752 hasConceptScore W785099752C78519656 @default.
- W785099752 hasIssue "8" @default.
- W785099752 hasLocation W7850997521 @default.
- W785099752 hasOpenAccess W785099752 @default.
- W785099752 hasPrimaryLocation W7850997521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1979439403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2010636166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2089544520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2795433734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3192752440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3200580568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322915960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4246909570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4253280243 @default.
- W785099752 hasRelatedWork W2345869089 @default.
- W785099752 hasVolume "35" @default.
- W785099752 isParatext "false" @default.
- W78509975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785099752 magId "785099752" @default.
- W78509975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