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906373212> ?p ?o ?g. }
Showing items 1 to 25 of
25
with 100 items per page.
- W906373212 endingPage "286" @default.
- W906373212 startingPage "254" @default.
- W906373212 abstract "아동학대의 가장 심각한 결과는 피학대 아동의 사망이나, 아동학대사망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과 대책마련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아동을 사망하게 한 가해자에 대한 사후조치이자 학대받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책임이며 극악한 학대 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인 법적 처벌에 초점을 두고 있다. 2000~2014년 아동복지법 제17조 금지행위를 위반하여 처벌받은 판결문 중 아동이 사망한 경우를 표집단위로 하였으며, 총 20건의 사례(피고인 총 34명)를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2000~2014년 피학대 아동의 사망은 `살인`이 아닌 `치사`에 의한 것으로 여겨져 비교적 낮은 형량이 선고되었고 양형 편차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산 계모 사건에서 인정되었던 살인죄의 요소들로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재분석하고 외국 사례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아동학대 사망사건은 `치사`가 아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사망사건 대응 과정에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default.
- W906373212 created "2016-06-24" @default.
- W906373212 creator A5012100534 @default.
- W906373212 date "2015-06-30" @default.
- W906373212 modified "2023-09-24" @default.
- W906373212 title "아동학대 사망사건 판결에 관한 연구: 울산 계모 사건을 중심으로" @default.
- W906373212 hasPublicationYear "2015" @default.
- W906373212 type Work @default.
- W906373212 sameAs 906373212 @default.
- W906373212 citedByCount "0" @default.
- W906373212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906373212 hasAuthorship W906373212A5012100534 @default.
- W906373212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906373212 hasConceptScore W906373212C41008148 @default.
- W906373212 hasIssue "2" @default.
- W906373212 hasLocation W9063732121 @default.
- W906373212 hasOpenAccess W906373212 @default.
- W906373212 hasPrimaryLocation W9063732121 @default.
- W906373212 hasVolume "35" @default.
- W906373212 isParatext "false" @default.
- W906373212 isRetracted "false" @default.
- W906373212 magId "906373212" @default.
- W906373212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