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93540930> ?p ?o ?g. }
Showing items 1 to 25 of
25
with 100 items per page.
- W93540930 endingPage "34" @default.
- W93540930 startingPage "23" @default.
- W93540930 abstract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default.
- W93540930 created "2016-06-24" @default.
- W93540930 creator A5030549105 @default.
- W93540930 date "2014-06-30" @default.
- W93540930 modified "2023-09-24" @default.
- W93540930 title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default.
- W93540930 hasPublicationYear "2014" @default.
- W93540930 type Work @default.
- W93540930 sameAs 93540930 @default.
- W93540930 citedByCount "0" @default.
- W93540930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93540930 hasAuthorship W93540930A5030549105 @default.
- W93540930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93540930 hasConceptScore W93540930C41008148 @default.
- W93540930 hasIssue "1" @default.
- W93540930 hasLocation W935409301 @default.
- W93540930 hasOpenAccess W93540930 @default.
- W93540930 hasPrimaryLocation W935409301 @default.
- W93540930 hasVolume "5" @default.
- W93540930 isParatext "false" @default.
- W93540930 isRetracted "false" @default.
- W93540930 magId "93540930" @default.
- W93540930 workType "article" @defa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