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s in SemOpenAlex for { <https://semopenalex.org/work/W984874958> ?p ?o ?g. }
Showing items 1 to 24 of
24
with 100 items per page.
- W984874958 endingPage "151" @default.
- W984874958 startingPage "133" @default.
- W984874958 abstract "모든 역사유물은 과학적 보존과 정보의 제공을 통해 후대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유물은박물관이나 미술관, 도서관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되는데 도서를 기본 소장형태로 수집하는 도서관과 역사문화 관련 문서 · 회화류와 공예품 등을 수집하는 박물관으로 나눠진다. 하지만이들 기관들은 전문 영역별로 자료수집이 다를 뿐 유물관리 및 분류체계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다. 이 를 토대로 각 문화시설들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꾀하여 단순 연구나보존영역에서 사회교육을 위한 정보체공까지 그 기능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이러한효과적 이용방안에 있어, 특히 주목되는것은최근박물관기능의 변화라할수 있다. 최근 박물관의 추세는 유형의 유물 (0비 ect) 중심에서 점차 무형의 체험 (Experienae) 위주로 바뀌고있다. 따라서 체험과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박물관은 점차 다목적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 발전하게 되었다1" @default.
- W984874958 created "2016-06-24" @default.
- W984874958 creator A5036981327 @default.
- W984874958 date "2006-12-30" @default.
- W984874958 modified "2023-09-23" @default.
- W984874958 title "효율적 유물관리 및 활용을 위한 디지털아카이브 구상 - 소장유물의 DB화와 정보시스템 구축 -" @default.
- W984874958 hasPublicationYear "2006" @default.
- W984874958 type Work @default.
- W984874958 sameAs 984874958 @default.
- W984874958 citedByCount "0" @default.
- W984874958 crossrefType "journal-article" @default.
- W984874958 hasAuthorship W984874958A5036981327 @default.
- W984874958 hasConcept C41008148 @default.
- W984874958 hasConceptScore W984874958C41008148 @default.
- W984874958 hasLocation W9848749581 @default.
- W984874958 hasOpenAccess W984874958 @default.
- W984874958 hasPrimaryLocation W9848749581 @default.
- W984874958 hasVolume "10" @default.
- W984874958 isParatext "false" @default.
- W984874958 isRetracted "false" @default.
- W984874958 magId "984874958" @default.
- W984874958 workType "article" @default.